[뉴스특보] 국민의힘 압승…중앙권력 이어 지방권력도 교체<br /><br /><br />8번째로 치러진 6·1 전국동시지방선거는 5년 만의 정권교체로 여당이 된 국민의힘의 압승으로 막을 내렸습니다.<br /><br />4년 만에 뒤집어진 양당의 지방선거 성적표, 향후 정국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련 내용들, 최수영 정치평론가,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십시오.<br /><br /> 최대 격전지, 바로 경기도였는데요. 표차가 3만표까지 났었다가 김동연 후보가 8,913표 차이로 승리를 했습니다. 개표가 끝날 때까지 승부를 알 수 없었던 경기도지사 선거, 어떻게 보셨습니까?<br /><br />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경기지사 승리가 곧 지방선거의 승리라고 이야기했을 정도로 여야가 사활을 건 곳이었는데요. 강용석 무소속 후보와의 단일화를 하지 않은 것이 무척 아쉬울 것 같습니다?<br /><br /> 민주당으로서는 김동연 후보가 경기도지사에 당선이 되면서 어느 정도는 체면치레를 하지 않았나 싶은데요. 경기도에서의 승리, 민주당에겐 어떤 의미라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이재명 후보에게도 김동연 후보의 경기도지사 승리가 매우 큰 의미일 텐데요.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?<br /> 대선 연장전이라 불려온 6·1 지방선거, 20대 대선이 끝난지 석 달이 채 안됐고, 새 정부가 출범한지 3주 만에 열렸는데요. 여당인 국민의힘의 압승으로 끝났습니다. 이번 6·1 지방선거 총평부터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 국민의힘은 지난 대선에 이어 지방선거에서도 야당 '텃밭' 일부를 제외하고는 광역단체장을 사실상 싹쓸이 하며 중앙에 이어 지방까지도 '완전한 권력 교체'를 이루게 됐는데요. 국민의힘의 압승 원인, 어떻게 분석하시나요?<br /><br /> 민주당은 호남 3곳과 제주, 그리고 경기에서만 승리했습니다. 충청권과 강원, 그리고 4년 전 부·울·경 3곳의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, 기초의원 등을 싹쓸이하며 고군분투했던 '영남' 교두보가 완전히 무너졌는데요. 민주당의 참패 원인, 어떻게 분석하십니까?<br /><br /> 최종 투표율은 50.9%로 간신히 50%를 넘겼는데요. 사전투표율이 지방선거 최고치였는데, 전체 투표율은 역대 지방선거 중 두 번째로 낮은 수치였습니다.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기존 여론조사와 출구조사, 그리고 최종결과까지 결과가 거의 비슷하게 나왔는데요. 민주당이 기대했던 이른바 '샤이 민주당'은 없었던 것 같은데, 이건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이재명 고문, 국회 입성은 성공했지만, 당 내부에선 '이재명 책임론'이 불거지고 있는데요. 총괄선대위원장으로서의 책임도 마땅히 있어야 하겠지만 국회에 입성한 이재명 고문, 앞으로 어떤 행보를 보일 거라 예상하시나요?<br /><br /> 선거 과정에서 국민의힘은 이재명 후보의 출마에 대해 '수사 방탄용'이라고 비판했는데요. 일단 이재명 후보, 이제 국회의원 배지를 달게 됐습니다. 선거가 끝나면 이재명 후보와 관련된 검찰 수사들이 진행될 텐데요.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서울 지역도 좀 살펴보겠습니다. 오세훈 시장은 첫 4선 서울시장으로 대권주자까지 부상했고, 반면에 송영길 후보는 득표율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대선 패배 이후 이번 지방선거까지 매우 타격이 클 것 같은데요. 두 사람의 운명, 어떻게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충청권도 초박빙 지역으로 분류가 됐었는데요. 4년 전 지방선거에서 충청권 광역단체장 네 자리는 민주당이 모두 가져갔었는데, 이번엔 모두 국민의힘이 가져갔습니다. 충청도 민심이 바뀐 배경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민주당은 오늘 오전 10시 비공개 비대위를 엽니다. 지방선거 후 당의 수습 방향을 논의할 것으로 보이는데요. 일각에선 지도부 총사퇴 관측도 나오는데 어떻게 예상하세요?<br /><br /> 불과 0.7%포인트 차이로 대선에서 패배했다는 것이 민주당에겐 독이였을까요? 지방권력까지 통째로 내주게 됐는데, 선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지도부가 물러난다고 해도 내홍을 잠재우기 쉽지 않아 보입니다. 앞으로 민주당의 운명, 어떻게 예상하시나요?<br /><br /> 지방선거 이후 이준석 대표의 거취도 궁금한데요. 20대 대선에 이어 6·1 지방선거를 이끈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, 성매매 의혹에 따른 징계건 처리가 예고가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. 안철수 전 인수위원장도 원내 입성을 했고요. 앞으로 이준석 대표의 거취, 어떻게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지방선거 이후 최대 현안인 국회 원 구성 협상에서 법제사법위원장 등 핵심 쟁점을 놓고 원내 대치가 예상되는데요. 이 부분은 어떻게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